자동차 기름이 떨어지면 주유를 해야합니다.
주유를 할 때 자동차 시동을 완전히 끈 후 주유를 합니다.
이때 자동차 주유시 시동꺼아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자동차 주유할 때 시동꺼야하는 이유 3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 주유시 시동 꺼야하는 이유
자동차 주유시 시동꺼야하는 이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화재 및 폭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주유소에는 휘발성이 강한 기름이 많이 있는 곳 입니다.
자동차 시동을 끄지 않고 주유할 경우에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스파크가 주유구 틈새를 통해 유증기와 만나게 되면 화재로 이어지게 됩니다.
화재뿐만 아니라 주유소 및 자동차가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시동을 꺼야합니다.
2. 연료 혼유 사고 방지하기 위해서 입니다.
종종 본인 자동차 연료를 착각하여 실수로 다른 연료를 넣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셀프 주유소를 이용할 때 착각해서 다른 연료를 주유구에 넣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이때 시동을 끄지 않고 연료를 잘못 주입하면 엔진까지 연료가 들어가기 때문에 더 수리비용이 더 많이 나오게 됩니다.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잘못 넣은 경우에는 잘못넣은 연료를 다 빼면 되지만 엔진이 작동 중일 때는 엔진 수리까지 해야합니다.
3. 위험물안전관리법 위반입니다.
주유수에서 시동을 끄지않고 주유할 경우에는 위험물안전관리법 위반으로 과태료 부과됩니다.
위반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는데 이 과태료는 운전자가 아닌 주유소 사업장에 부과됩니다.
그렇다보니 운전자들이 법 위반인 걸 모르는 경우 많이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자동차 주유할 때는 반드시 시동을 끄고 주유해야합니다.
특히 셀프 주유소에서 주유할 경우에는 반드시 본인 자동차 연료가 맞는지 2번 3번 확인하고 주유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