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저소득층을 위해 영구임대 아파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신청 방법 그리고 입주 자격 조건 마지막으로 단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영구임대 아파트란
영구임대 아파트는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임대주택입니다.
영구임대 아파트는 저소득층에 속하는 국민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장기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영구임대 아파트는 임대보증금 최대 300만 원, 월 임대료 최대 10만 원 정도로 굉장히 저렴합니다.
영구임대 아파트 주택 평수는 대략 12평 이하로 주택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구임대 아파트는 모든 사람들이 신청할 수는 없습니다.
입주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들만 입주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격 조건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격 조건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1.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
2. 장애인
3. 아동복지시설 퇴소자
4. 만 65세 이상 고령자
5.기초생활수급자
6. 월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의 50% 이하 가구
6가지 입주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이라면 입주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구임대 아파트 입주자격에 해당된다고 해도 입주가 무조건되는 것은 아닙니다.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신청 방법
1. LH청약플러스 사이트 아래에 있는 임대주택 아이콘 선택합니다.
2. 공고문 유형 영구임대 지역, 기간 설정 후 검색합니다.
3. 입력한 정보 바탕으로 하단에 영구임대 아파트 공고중 정보가 나타납니다.
4. 영구임대 아파트 공고중 선택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5. 공고일, 주소지, 전용면적, 입주예정일 등 확인합니다.
6. 공고 정보 제일 상단에 있는 청약신청 바로가기 선택하여 입주 신청합니다.
이렇게 정부에서 제공하는 영구임대 아파트는 LH청약플러스 사이트를 통해서 공고문 확인 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관심있는 지역의 영구임대 아파트 공고문을 계속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따로 문자, 메일로 영구임대 아파트 공고에 대한 정보를 발송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영구임대 아파트 단점
영구임대 아파트 단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영구임대 아파트로 제공되고 있는 주택들은 대부분 노후화가 심한 주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오면 물이 새는 경우가 많고 벽지에 얼룩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구임대 아파트 평수가 크지 않기 때문에 인원이 많은 가구는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있습니다.
영구임대 아파트는 경쟁률이 굉장히 높고 대기해야하는 기간이 상당히 깁니다.
이러한 단점이 있어 정부는 개선하기 위해 자금을 투입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영구임대 아파트 신청하기 전 이런 단점이 있다라는 걸 알고 신청하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