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인정액 계산방법 계산기 총정리

정부 지원금을 신청할 때 소득인정액 기준으로 신청 자격 대상자인지 확인합니다.

그렇다면 내 소득인정액이 얼마인지 알아야 어떤 지원금 신청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이란 설명과 소득인정액 계산방법 자동계산기에 대해 아래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소득인정액-계산방법-계산기


소득인정액이란

정부 지원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족 등 지원할 때 선정되는 기준 중 하나가 바로 소득인정액입니다.

소득인정액은 가구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으로 합한 것을 금액 계산하는 것 입니다.

본인이 정부로부터 지원받고 싶은 지원금 종류의 기준 중위소득보다 본인 소득인정액이 낮아야지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을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소득인정액 계산방법

소득인정액은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합친 것이라고 알려드렸습니다.

소득평가액 = {0.7x (근로소득 – 110만 원)} + 기타소득

소득평가액은 본인의 실제 소득에서 근로소득공제, 가구 특성별 지출 요인를 차감하여 계산한 것입니다.

기타소득에는 사업소득(부동산, 도매업, 소매업 등), 재산소득(민간 연금보험, 예금, 적금, 주식 등), 공적이전소득(국민연금, 산재급여, 공무원 연금 등), 무료임차소득(자녀 이름 고액 주택 또는 배우자에 대하여 임차료 소득) 해당됩니다.

재산의 소득환산액 = {재산 종류별 가액 – 기본재산액 – 부채} x 재산 종류별 소득환산율

재산의 소득환산액에는 고가 자동차 및 회원권(골프, 승마, 요트 등) 포함되어 계산됩니다.

지역별로 기본재산액 공제액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는 지역 공제액을 확인해야 합니다.


하지만 소득인정액을 위 방법으로 계산하는 것은 사실 어렵습니다.

복지로 사이트에서는 소득인정액을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계산기 서비스가 있습니다.

복지로 사이트에서 간단하게 본인 소득인정액을 계산해보세요.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