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토지를 매매, 매도 거래하면 집값 외에도 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부동산 주택 매매시 발생하는 세금, 보유할 때, 매도할 때 계산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동산 거래로 발생하는 세금 금액은 생각보다 많기 때문에 반드시 세금 계산기로 확인해야 합니다.

부동산 주택 매매시 발생하는 세금
부동산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 주택을 매매하면 발생하는 세금들이 있습니다.
부동산 주택 매매 시 발생하는 세금은 취득세입니다.
부동산 주택을 내 명의로 취득하면 내야하는 것이 취득세이며, 취득세는 지방세 종류 중 하나입니다.
이때 1주택자는 1%~3% 세금 적용, 2주택자는 8% 세금 적용, 3주택 이상일 경우 12% 세금이 적용됩니다.
즉, 부동산을 여러개 가지고 있으면 그만큼 더 많은 취득세 세금이 적용됩니다.
부동산 주택 매매 시 발생하는 취득세를 면제 및 감면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취득세 면제 경우
1. 부동산 상속
부동산 상속을 받으면 취득세가 발생하지만 상속인들 간의 재산 분배에 따른 취득은 취득세 면제입니다.
2. 이혼 재산분할
이혼으로 재산분할로 부동산 주택을 받은 경우 취득세 면제입니다.
취득세 감면 경우
1. 생애 최초 주택 취득세 감면
주택 구매 가격이 9억 원 이하 100% 면제입니다.
주택 구매 가격이 9억 원 ~ 12억 원 이하일경우 일부 감면됩니다.
2. 신혼부부 취득세 감면
법적으로 혼인신고한 신혼부부가 3억 원 이하 주택 구매시 50% 감면 됩니다.
3. 다자녀 가구 취득세 감면
다자녀 가구 중 자녀가 2명일 경우 50% 감면됩니다.
자녀가 3명 이상일 경우 100% 감면됩니다.
4. 농어촌주택 취득세 감면
귀촌, 귀농인일 경우 조건 충족하면 취득세 감면됩니다.
5. 장애인, 국가유공자 취득세 감면
국가유공자, 장애인, 고령자가 주택 구매할 경우 취득세 감면됩니다.
부동산 주택을 보유하고 있을 때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세금이 발생합니다.
그리로 부동산 주택을 매도할 때 양도소득세, 지방세 세금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취득세 감면 조건은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매하기 전 거래하는 부동산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취득세 감면 조건을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부동산 주택 보유시 발생하는 세금
부동산 주택을 매매 후 보유하고 있으면 매년 재산세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재산세는 1년에 7월과 9월 2번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재산세는 주택 공시가격에 따라 세율 적용이 달라지게 됩니다.
재산세 세율은 0.1% ~ 0.4% 사이가 적용됩니다.
이때 고가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는 종합부동산세가 부과됩니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공시가격 6억 원 초과할 경우 부과됩니다.
1주택자일 경우에는 11억 원이 기준입니다.
부동산 주택 매도시 발생하는 세금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 주택을 매도할 때 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1. 양도소득세
주택 매매차익이 발생하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기본적으로 양도소득세 세율은 6%~45% 사이로 적용됩니다.
양도 차익 구간에 따라 차등으로 세율이 적용됩니다.
2. 지방소득세
양도소득세의 10% 추가로 부과됩니다.
이렇게 부동산 주택을 다른 사람한테 판매할 때도 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세금까지 다 계산해야 나중에 세금 걱정하지 않습니다.
부동산 주택 세금 계산기
부동산 주택 매매, 보유, 매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제일 상단에 매매했을 경우 발생하는 세금인 취득세를 선택 후 아래에 나온 빈칸에 입력 후 취득세 계산하기 선택하면 됩니다.
그럼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취득세를 자세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부동산 주택 세금 계산하고 싶은 항목을 먼저 선택 후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