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0일부터 병원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분증 지참해야합니다.
신분증을 소지하지 않고 병원에 방문하면 진료받을 수 없습니다.
오늘은 병원 신분증 없을때 모바일 건강보험증 간편 발급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병원 신분증 없을때
병원, 한의원에 방문할 때는 반드시 본인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하지만 가끔 신분증을 집에 놓고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때는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받으면 진료받을 수 있습니다.
1.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다운로드 받습니다.
2. 본인인증 (핸드폰 번호, 금융 인증서) 합니다.
3. 비밀번호 4자리 입력합니다.
4.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받습니다.
5. 모바일 건강보험증 옆으로 넘기면 QR코드 화면이 있습니다.
6. 제출하기 선택하면 qr코드 생성되고 접수처에 보여주면 됩니다.

병원 신분증을 안 가지고 방문했을 때는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다운로드 받으면 진료받을 수 있습니다.
사실 젊은 사람들은 바로바로 다운로드받고 확인할 수 있지만 부모님, 핸드폰 사용이 어려운 분들이라면 모바일 건강보험증 이용하는 게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분증을 놓고 갔을 때를 대비해서 부모님 핸드폰에 미리 다운로드 받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혹시 몰라서 엄마, 아빠 핸드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아무래도 나이가 들면 병원에 자주 방문하기 때문에 미리 설치를 해드렸습니다.
많이 하는 질문
핸드폰 1대로 여러명 인증 가능한가요?
– 핸드폰 1대당 한 사람만 인증이 가능합니다.
모든 병원, 한의원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으로 본인확인 가능한가요?
– 모바일 건강보험증 QR코드 인식할 수 있는 병원이 많이 있지는 않습니다.
– 현재는 일부 병원에서만 진행가능하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신분증(여권,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를 지참하는 게 좋습니다.
병원 본인확인할 때 등본도 가능한가요?
– 대부분 병원에서는 사진이 함께 붙있는 여권,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으로 본인확인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몇몇 병원에서는 등본도 본인확인 해주는 곳들도 있습니다.
좀 더 확인한 건 본인이 방문하려고 하는 병원에 문의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